1.10 버전 간이 패치노트& 코멘트
밸런스 조정 전투순양함의 공격이 방어력을 무시하지 못합니다. 전투순양함이 첨단 조준 시스템의 효과를 받지 못합니다. 모선의 강화보호막 능력으로 생존성이 더 강화되어, 일반적으로 화력을 쏟아붓는 것이 답이 아니라 기술능력으로 반전을 노리는 것이 더 확실한 해결책입니다. 다만 그 방법이 저그나 테란이나 모두 한정적이라는게 문제점일까요. 파괴 광선이 연구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삼아보면 살모사로 모선을 납치해오는 것은 재앙에 가까운 피해가 생길지도 모릅니다.. 그래서 신경기생충을 강제할 수 밖에는 없습니다. 테란은 조금 더 상황이 나은데, 전투순양함과 토르의 강력한 대공능력이나 사이클론, 유령으로 에너지와 방어력을 무력화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이쪽은 화력에 의한 파괴를 노리기 좀 더 낫습니다. 결국 문제는 모선이 저그를 상대로 너무 강력한 선택지일 수도 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. 아마 신경 기생충의 시전 사거리를 너프 전처럼 늘리는 게 가능할 수 있다고 봅니다. 지금은 7이 고정값이므로 감염충이 무조건 환류와 모선의 공격 사거리 안에 들어옵니다. 그리고 이 7이라는 값은 거의 대부분의 프로토스 원거리 유닛을 생각하면 매우 짧기때문에(테란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구요) 단순히 시전 사거리를 늘리는 것만으로도 모선을 보유한 상대에게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되면 보통은 어택땅 명령으로 모선을 방치하는 프로토스를 상대로 크게 한 방 먹일 수 있으니,상대방은 신경기생충으로 게임이 뒤집힐 수도 있다는 점을 신경써야할 것입니다. 아군이 되면 더없이 든든한 방패지만 적군으로 변모해서 우리에게 파괴 광선을 날리고 소용돌이를 날린다고 상상해봅시다. 그런데 동일하게 최종유닛 싸움으로 간다고 가정했을 때 모선의 위협을 제외한다면 저그는 울트라리스크를 이용해서 지상싸움에서 늘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입니다. 무자비한 군단 업그레이드로 생산성이 더 효율적이게 된데다가, 최근의 수정으로 적진 안으로 파고들어 뛰쳐나오는데다가 90초마다 아무런 페널티 없이 부활할...